예다함 

  • 다이렉트 상품가입
  • 자주하는질문

고객센터 1566-6644 장례접수 (상황센터) 1566-0119

quick

ccm

event

mo_service

장례정보

장례 행사시
유용한 정보를 모아 제공합니다.

종교별 장례절차
종교별 장례절차1  종교별 장례절차2  종교별 장례절차3
불교식 장례절차

개식사

호상(護喪)이 한다.

삼귀의레

주례승이 하며 불,법,승의 세 가지 귀한 것에 돌아가 의지한다는 불교의식의 예.

약력보고

고인을 추모하는 뜻에서 고인과 생존 시에 가까웠던 친구가 한다.

착어(着語)

주례승이 고인을 위해서 부처님의 교법의 힘을 입어 고인을 안정시키는 말이다.

창혼(唱魂)

주례승이 하며 극락세계에 가서 고이 잠들라는 것으로 요령(搖鈴)을 치며 한다.

헌화(獻花)

친지 대표가 한다.

독경(讀經)

주례승과 침례자 모두가 고인의 혼을 안정시키고, 생존 시의 모든 관계를 잊고, 부처님 세계에 고이 잠들라는 염불(念佛)이다.

추도사(追悼辭)

초상에는 조사(弔辭)라고 하며 일반에서 는 하는 것과 같다.

소항(儺香)

일동이 함께 향을 태우며 추모하고 애도한다.

사홍서원(四弘誓願)

주례승이 하는 것으로 다음과 같은 것이다. - 중생무변서원도 : 즉 중생은 끝이 없으니 제도하여 주기를 맹세하는 것. - 법문무량서원학 : 즉 불교의 세계는 한량이 없으니 배우기를 원한다는 것. - 번뇌무진서원단 : 즉 인간의 번뇌는 끊기를 원하는 것. - 불도무상서성 : 즉 불도 보다 더 훌륭한 것이 없으니 불도를 이루기를 맹세코 원한다는 것.

페식(閉式)을 선언한다.

기독교식 장례절차

임종예배

성도가 임종하면 담임 목사께 가장 먼저 연락을 드리고, 목사님께서 오시면 임종 예배를 드리고 장례 일정 및 제반 사항을 의논한다.
기독교 예식은 제사상 같은 상차림과 곡은 하지 않고, 검소하고 경건한 마음과 엄숙한 분위기 가운데 장례를 진행한다.

입관예배

염습과 입관을 마친 후 목사님 집례 하에 참여한 성도들과 입관예배를 드린다.
입관예배는 보통 입관을 마친 후 빈소에서 진행하며 때에 따라 입관실에서 진행하는 경우도 있다.

발인예배(출관 전 드리는 예배)

가능하면 발인예배 시와 하관예배의 순서지를 준비하는 것이 좋다.
01. 묵도 : 다같이
02. 찬 송 : (291장, 293장, 543장 등) 다같이
03. 기도 : (기도담당자 : 장로님 또는 부목사님)
04. 성경봉독 : 예)고후 5장1절. 딤전 6장 7절, 요 11 장 25~26절, 고전 15장42-44절 등.
05. 찬양(특송) : 준비된 교회만
06. 설교
07. 약력보고 : 유가족 대표 또는 교회 대표
08. 찬송: 다같이
09. 인사 및 광고 : 유가족 측
10. 헌화
11. 측도 : 목사님

하관예배

집례 : ○○○ 목사님 / 설교 : ○○○ 목사님
01. 묵도 : 다같이
02. 찬송 : 다같이
03. 기도 : 기도담당자 ( 장로님 또는 부목사님)
04. 성경봉독 : 고후 15장 51 ~ 58절(부활의 본문 중)
05. 설교
06. 찬송: 다같이
07. 광고
08. 축도 : 목사님
09. 취토 : 유족일동
천주교식 장례절차

종부성사(終傅聖事 )

운명할 때 행하는 성사이다. 신부가 오면 상 위의 촛대에 불을 켜고 별자가 고백성사를 할 수 있도록 다른 사람은 모두 물러간다. 고백성사가 끝나 면 신부는 종부성사를 행하고 노자(路資)성체를 영해 준다.

운명

임종이 다가오면 임종 경을 읽으며 그 영혼을 위하여 기도한다. 염경(含翹)은 숨이 그친 뒤에도 잠시 동안 계속하는 것이 좋다. 큰소리로 통곡을 하거나 흐느끼게 되면 죽는 이의 마음에 불안을 주게 되므로, 거룩한 기도문이나 성가를 들려주어 평온한 마음으로 눈을 감게 한다.

초상(初喪)

숨을 거두면 시신에 깨끗한 옷을 입혀 손발을 제자리에 정돈해 준다. 손은 합장을 시켜 묶거나 십자고상을 쥐어주고 눈은 감기고 입은 다물게 한다. 머리맡의 상 위에는 고상을 모시고 그 좌우에 촛불을 켜며 성수를 놓는다. 입관할 때까지 이런 상태로 두며 가족들은 그 옆에 꿇어 앉아 연도(연도)를 한다. 염경이 끝날 때 마다 시체에 성수를 뿌린다. 만 하루가 지나면 정해진 경(經)왼 뒤 성수를 뿌리고 시체를 염한다.

연미사

병자가 세상을 떠난 사실을 본당 신부에게 보고하고 연미사(위령미사)를 청한다. 또 신부와 의논하여 장례일과 장례미사시간을 결정한다.

장례식

장례일이 되어 출관(出棺)할 때는 모든 이가 함께 관 앞에 고상을 향하여 꿇어 앉아 경을 왼다. 이어 관을 들어 발인하여 영구를 본당으로 옮기고 연미사를 거행한 뒤 장지로 옮긴다. 관을 묻으면 사제는 성수를 뿌리며 마지막 기도를 올린다. 장례 후 3일,7일 30일에 또 소상과 대상 때 성당에 서 연미사와 가족의 영성체를 행한다.

콘텐츠 만족도 평가

고객님의 소중한 평가가 정직하고 투명한 예다함 상품 서비스를 만들어가는 원동력입니다.

  • 0점
  • 1점
  • 2점
  • 3점
  • 4점
  • 5점
  • 6점
  • 7점
  • 8점
  • 9점
  • 10점
불만족 만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