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례와 관련된
유용한 정보를 모아 제공합니다.
![]() |
대문을 열어 놓고 병풍을 치고,제상에 제수를 진설하고 지방을 모시고 제사 준비를 마친다. |
---|---|
![]() |
영혼의 강림을 청하는 의식이다. 제주가 신위 앞으로 나아가 향을 올리고, 잔에 술을 조금 따라 두 손으로 향불위에서 세 번 돌린 다음, 모사(茅沙) 그릇에 조금씩 세 번 붓고 두 번 절한다. (향을 피우는 것은 향을 피워 천상에 계시는 조상의 혼령을 청하여 모시는 상징적인 행위이고, 또 모사에 술을 붓는 것은 향기로운 술을 땅에 부어 지하에 계실 조상의 신을 모시는 절차이다) |
![]() |
신위(神位)에 인사하는 절차로서 모든 참사자가 다같이 두 번 절하고, 주부 이하 여자는 네 번 절한다. |
![]() |
식어서는 안되는 진수를 지금 올리는 절차이다. |
![]() |
제주(祭主:큰아들)가 첫 번째 잔을 올리는 의식이다. 잔을 올린 뒤에 메 그릇과 탕 그릇 반개를 열고 물러난다. |
![]() |
초헌이 끝나고 참사자가 모두 엎드려 있으면 축관이 축문을 읽는다. 축을 다 읽고 나서 참사자는 잠시 묵념을 하던지, 곡을 잠시하고 나서 모두 일어나서 두 번 절한다. |
![]() |
두 번째 잔을 올리는 의식으로 원래는 주부(첫째 며느리)가 올린다. 주부가 아니면 다음가는 근친자가 올리고, 두 번 절하고 주부(여자)는 네 번 절한다. |
![]() |
세 번째 마지막 잔을 올리는 의식이다. 아헌자의 다음가는 근친자가 잔을 올리는데 잔을 7부쯤 부어서 올린다. |
![]() |
종헌이 끝나고 조금 있다가 제주가 다시 신위 앞으로 나아가 꿇어앉으면, 집사는 술 주전자를 들어 종헌 때 7부쯤 따라 올렸던 술잔에 세 번 첨작하여 술잔을 가득 채운다. |
![]() |
첨작이 끝나면 숟가락을 메 그릇 중앙에 꽂는다. 숟가락 바닥(안쪽)이 동쪽으로 가게 꽂는다. 삽시정저가 끝나면 다시 재배한다. |
![]() |
첨작과 삽시정저 두절차를 통 털어 유식이라 하는데, 이는 진지를 많이 드시라고 권하는 의식이다. |
![]() |
조상님이 마음 놓고 잡수시도록 자리를 비우는 절차이다. 참사자 모두가 밖에 나가 읍한 자세로 잠시 있다가, 문을 열고 들어오던지 촛불을 잠시 끄고 그 자리에 엎드려 있다가 다시 촛불을 켠다. |
![]() |
닫았던 문을 여는 절차이다 헛기침을 세 번하고, 문을 열고 참사자가 모두 들어간다. |
![]() |
진숙수(進熟水)라고도 한다. 갱을 내리고 숭늉을 올린 뒤에 메 세술을 떠서 물에 말아 놓고, 저를 고른다. 참사자는 모두 모리를 숙이고 잠시 동안 있다가 고개를 든다. |
![]() |
숭늉그릇에 놓인 수저를 시접에 거두고 , 메 그릇의 뚜껑을 덮는다. |
![]() |
고인의 영혼을 전송하는 절차로 참사자가 신위 앞에 두 번 절한 뒤, 지방과 축문을 불사른다. 신주(神主)일 때는 축문만 불태우고, 사당으로 다시 모신다. 이로써 제사를 올리는 의식 절차는 끝난다. |
![]() |
모든 제수를 물리는 것으로 제수(祭需)는 뒤에서부터 물린다. |
![]() |
음복이란 조상님께서 물려주신 복된 음식이라 하여 제사가 끝나면, 현관 이하 참사자와 가족들이 모여서 나누어 먹는다. |